본문 바로가기

소득세7

종합소득세 신고 및 납부기한 종합소득세 신고와 납부는 5월 31일까지입니다.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해 개념부터 기초적인 것들을 알려드리고, 기타소득 절세에 유리한 방법도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는 어떤 사람이 하는지? 종합소득세 신고는 다음 6가지 소득중에서 1개 이상 신고 조건이 되는 거주자들이 신고하는 세금입니다. ▷사업자등록을 내고 사업을 하는 사업소득자 ▷사업자등록은 하지 않고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소위 3.3%사업소득자 ▷어쩌다 한 번씩 발생하는 소득이 있는 기타소득자(예, 강의료) ▷이자와 배당을 받는 이자배당소득자 ▷연금을 받는 연금소득자 ▷근로소득이 있는 근로소득자입니다. 여기서 근로소득만 있는 근로소득자는 회사에서 연말정산을 하면서 납세의무가 종결됩니다. 하지만 요즘 투잡 많이 하시는데, 근로소득이 있으면.. 2023. 5. 3.
사업장현황신고, 주택임대소득 과세 2월 10일까지 사업장현황신고 마감일이었습니다. 해당되신 분들은 다들 신고 잘하셨겠죠? 사업장 현황신고에 대해 알아보고 주택임대소득 과세에 대해서도 알아볼게요. 사업장 현황신고란? 사업장현황신고는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개인사업자가 지난 1년간의 수입금액과 사업장 현황을 다음 연도 2월 10일까지 사업장소재지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고하는 것입니다. (해당 과세기간 중 사업을 폐업 또는 휴업한 사업자도 포함합니다.) 쉽게 말해 면세사업을 영위하고있는 개인사업자는 부가가치세 신고를 하지 않으니 매출 신고를 사업장현황신고로 신고하는 것입니다. 신고대상 신고 대상은 병원, 의원, 학원, 농. 축. 수산물 판매업, 대부업, 주택임대업 등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입니다. 따라서 부가가치세 과세 사업자 또는 법인(면세사업자.. 2023. 2. 19.
연말정산 세액공제(보장성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월세액 세액공제) 연말정산이 한창입니다. 저도 무척 바쁜 날을 보내고 있어요.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 중에서도 많이 헷갈려하시는 특별세액공제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특별세액공제 종류 세액공제는 소득공제와 달리 세액을 바로 차감시켜 줍니다. 그래서 꼼꼼하게 잘 준비하셔야 해요. 특별세액공제는 보장성보험료 세액공제, 의료비 세액공제, 교육비 세액공제, 기부금 세액공제가 있습니다. 그리고 월세 세액공제가 있습니다. 이 다섯 가지 세액공제에 해당하려면 조건이 충족되어야 하는데 그게 바로 나이 요건과, 소득금액 요건입니다. 나이 요건은 20세 이하, 60세 이상을 기억하시고, 소득금액 요건은 연 100만원 이하(근로소득만 있으면 연 500만 원 이하)에 해당이 되어야 합니다. 아래 기본공제 요건은 세액공제 외에도 소득공제(신용카드 등.. 2023. 1. 30.
퇴직소득세법 개정. 퇴직소득 근속연수 공제 개정(Q.2022년 12월 퇴사하고 2023년 1월 퇴직금 지급할 경우?) 2023년 퇴직소득세법이 개정됐어요! 그중에서도 정확히는 퇴직소득공제가 개정되었습니다. 2023년 1월 1일 퇴사자부터 적용되니 2022년 12월 31일 자로 퇴사하시는 분들 퇴직소득세 계산하실 때 착오 없으셔야겠습니다. 퇴직소득세에 부과되는 근속연수 공제액 상향 퇴직금에 대한 세금은 근속연수가 길면 길수록 세금에 대한 부담을 줄이게 됩니다. 퇴직소득세 산출 시 근속연수 공제라는 항목으로 인해 세금을 줄여주게 됩니다. 이 근속연수 공제를 더 받을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었습니다. 결국은 퇴직소득세를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현행 개정안 근속연수 공제액 근속연수 공제액 5년 이하 30만원x근속연수 5년 이하 100만원x근속연수 5년 초과 10년 이하 150만원+50만원x(근속연수-5년) 5년 초과 .. 2023. 1. 9.